정당법 일부개정법률안(민형배의원 등 10인)

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정당법상 중앙당 소재지를 수도로 한정하는 규정을 삭제하고자 합니다 대한민국이라면 어디서나 중앙당 소재를 둘 수 있도록 해 정치균형발전을 위한 보다 근본적...

제안이유

,

주요내용

,

정당법상

,

중앙당

,

소재지를

,

수도로

,

한정하는

,

규정을

,

삭제하고자

,

합니다

,

대한민국이라면

,

어디서나

,

중앙당

,

소재를

,

있도록

,

정치균형발전을

,

위한

,

보다

,

근본적

,

제도를

,

마련하기

,

위한

,

것입니다

,

현행법상

,

정당은

,

수도에

,

소재하는

,

중앙당과

,

특별시광역시도에

,

각각

,

소재하는

,

시도당으로

,

구성합니다

,

중앙당

,

소재지를

,

수도로

,

한정하고

,

있습니다

,

국가

,

균형발전을

,

저해하는

,

요소라는

,

비판이

,

제기됩니다

,

중앙당

,

소재지를

,

정당

,

정책에

,

따라

,

자유롭게

,

결정할

,

필요가

,

있다는

,

주장도

,

있습니다

,

시도당의

,

법정당원수를

,

일률적으로

,

정한

,

것도

,

문제입니다

,

현행법은

,

모든

,

시도당이

,

1천명

,

이상의

,

당원을

,

가지도록

,

규정합니다

,

2020년

,

12월

,

31일

,

기준

,

경기도

,

주민

,

수는

,

1340만명이

,

넘습니다

,

상대적으로

,

제주특별자치도

,

주민

,

수는

,

67만명에

,

불과합니다

,

주민

,

수가

,

20배가량

,

크게

,

차이

,

납니다

,

동일한

,

법정당원수

,

기준적용은

,

형평성에

,

어긋납니다

,

더욱이

,

주민

,

수가

,

적은

,

지역은

,

시도당창당

,

제약요인으로

,

작용합니다

,

해당

,

지역

,

주민의

,

뜻을

,

제대로

,

정치에

,

반영하지

,

못한다는

,

우려의

,

목소리가

,

높습니다

,

이에

,

중앙당

,

소재지를

,

수도로

,

한정하는

,

규정을

,

없애고

,

시도당

,

법정당원수를

,

해당

,

시도당

,

관할구역

,

주민

,

수를

,

고려하여

,

중앙선거관리위원회규칙으로

,

정하는

,

내용도

,

담았습니다

,

주권자

,

시민의

,

뜻을

,

제대로

,

반영하고

,

정당

,

활동을

,

보다

,

자유롭게

,

보장하기

,

위한

,

것입니다(안

,

제3조

,

제18조제1항)